본문 바로가기

지속가능성

지속가능성에 영감을 주는 디자인 5가지 1. Metro Cuff http://www.designhypeinc.com/도시철도는 대중교통 중에서도 가장 친환경적인 교통수단이죠. 이런 도시철도의 이용에 미적인 영감을 주는 디자인. 2. Eco Bag http://www.depotwpf.com/PROJECTS/214/1/Pure EcoBag! 아무데나 던져놓아도 비만 맞으면 풀밭으로 자라나는 종이백입니다. 3. P-ortabile http://haitztelletxea.tumblr.com/post/42499204202수직 또는 수평으로 사용할 수 있고 48시간 지연 급수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Haitz Telletxea for Capellino Design, Asti, 2012 4. Balance Stick http://www.chengtsung.. 더보기
지속가능성에 충실한 라이프 스타일 5가지 한사람 한사람의 작은 실천들이 모여서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들어 갈 수 있습니다. 수많은 방법들이 있겠지만 생활 속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5가지를 소개합니다. 순서는 특별한 의미가 없습니다. 1. 일주일에 적어도 하루는 고기를 먹지 않는 날로! Have a Meatless Monday. Or Meatless Whichever-day-you-want!고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아주 많은 에너지와 물이 소모됩니다. 예를 들어 450그램(1파운드)의 소고기를 생산하려면 7,600리터(2,000갤런)의 물(가상수, virtual water)이 소모됩니다. 소에게 먹일 곡물을 키우고, 소를 키우고, 소를 운반하기 위해서 말이죠. 채식을 실천함으로써 탄소발자국 또한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지구환경은 물.. 더보기
[책리뷰]에코의 함정(헤더 로저스 지음) - 녹색 삶을 추구하려면 정치적 의지가 필요하다.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삶은 비현실적인가?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삶의 방식을 새로운 방식으로 전환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고 받아들여지는 이유는 무엇있까? 일반적으로 녹색 삶은 지금까지 누리던 것을 포기해야 하는 것으로 받아들여 진다. 그러한 포기 없이 기존의 생활 패턴을 유지하면서 녹색 삶을 살아가려면 많은 비용을 들여야 한다. 녹색 삶은 돈이 많이 든다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한 주택은 비싸다. 빌딩에 물을 재활용하는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도 많은 비용을 들여야 하는 것이고 유기농 식품이난 공정 무역 인증을 받은 제품을 소비하는 데도 만만찮은 비용이 든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도 일반 자동차보다 비싸다. 이렇게 보면 녹색 삶을 위해서는 정말 자연으로 돌아.. 더보기
숲은 매년 우리에게 70조 원이 넘는 돈을 주고 있다 숲은 우리를 위해 많은 일을 하고 있죠.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숲은 녹색댐이다산림은 토양 속에 빗물을 머금었다가 서서히 흘려 보내면서 홍수를 조절하고 갈수를 완화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다 성장한 나무 한 그루는 1년에 약 3,800리터의 빗물을 땅으로 흡수하여 지하수를 만드는데 도움을 준다. 우리나라 숲의 물 저장기능은 연간 약 17조 5천억 원의 가치가 있다. 숲은 오염된 빗물을 정화한다오염된 빗물이 산림토양을 통과하는 동안 각종 이온이 흡착-교환-불용화 되는 과정을 거쳐 맑고 깨끗하게 된다. 우리나라 숲의 물 정화기능은 연간 약 6조 2천억 원의 가치가 있다. 나무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작품 중에서 가장 위대하고 아름다운 존재- 윌리엄 길핀, , 1791년 - 숲은 공기을 정화하고 지구온난화를.. 더보기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이란 무엇인가?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이란- 산업문명을 기반으로 하는 인류의 무분별한 생산과 소비 활동이 결국 자기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함으로써 자연생태계는 물론이고 인류 전체의 지속과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자연환경의 보존'과 '인간사회의 행복' 그리고 '이 둘(환경과 사회)을 고려한 경제활동' 등이 유기적으로 이뤄져야지만 지속될 수 있다는 관점으로 접근하는 개념.- 즉 지속가능성이란, 인류 활동의 모든 영역에서 환경-사회-경제를 통합적이고 조화롭게 고려함으로써, 이 세상을 지구가족 모두를 위한 삶의 터전으로 지속시키는 힘이다.- 지속가능성의 3요소 : 온전한 환경 / 행복한 사회 / 올바른 경제 지속가능성에 충실한 것자연보호, 생물다양성, 에너지 절약, 자전거, 대중교통,.. 더보기
채식의 선택은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문화적' 역량이다. 잡식성으로 진화한 인간이 때때로 육식을 포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독일의 생태운동가 틸 바스티안은 자신의 저서 에서 이렇게 얘기한다. "(육식의) '과도함'을 철저하게 혐오한 나머지 '자연'이 즉 생명의 진화가 인간을 잡식성 동물로 만들어 놓았다는 사실을 망각해서는 안 된다. 육식을 포기하는 것에는 많은 철학적ㅡ윤리적, 정치적ㅡ이유들이 있겠지만, 육식을 하지 않는 생활 방식이 '자연스럽'지는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우리가 그런 생활 방식을 선택할 수 없다는 것, 그런 방식을 선택해서는 안 된다는 말은 결코 아니다. 이러한 선택은, 이를테면 지속가능한 경제방식을 지지하는 것이나 몇몇 빈곤 국가들의 대외 부채를 즉각 면제해 줄 것을 촉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문화적' 역량이다. 자의식을 가지고 자기.. 더보기
음식물 쓰레기로 인해 연간 25조원 낭비, 음식물 쓰레기 줄이는 방법은? 우리나라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은...- 전체 소비되는 음식물의 1/7- 1년에 620만톤(25조원 규모)- 전체 쓰레기 발생량의 30%- 배출량의 70% 이상이 유통과 조리, 보관 과정에서 발생 알뜰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방법첫째, 냉장고 정리하기. 냉장고 안이 뒤죽박죽 섞여 있으면 예전에 사두었던 음식을 제때 먹지 못해 음식물 쓰레기가 생기기 쉽다.둘째, 음식물 쓰레기 정확하게 배출하기. 동물 사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일반 쓰레기와 잘 분리한 뒤 잘게 부수고 물기를 꼭 짜서 배출하면 전반적인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셋째, 지렁이 이용해서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로 만들기. 지렁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일등공신입니다. 자세한 이용 방법은 아래 '지렁이를 이용한 음식물 퇴비화 방법.. 더보기
'혁신'은 '지속가능성'의 핵심 요소이다. "기업들이 환경적 사회경제적 역할을 늘려가면서도 핵심 사업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 '혁신'은 '지속가능성'이 주요 화두로 자리잡은 새로운 세상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이며, 이러한(지속가능성에 상응하는) 혁신의 유무가 업계의 리더 기업과 추종 기업을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Jon Woodhead, the guardian) New thinking on how companies can deliver core business strategies while producing enhanced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benefits is a must for any company wishing to become truly sustainabl.. 더보기
소비자는 사회적으로 책임을 다하는 기업의 브랜드를 선호한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따지는 소비자는 점점 증가하고 있다착한 기업의 제품을 찾아 구매하는 별난(?) 소비자들은 늘 있어왔지만 이제는 이런 소비자들이 결코 소수의 별난 사람들이 아니다. 미국의 마케팅 조사기관 'Good.Must.Grow (GMG)'가 최근 발표한 조사결과를 살펴보자.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사회책임 기업의 제품을 선호한다1,015명의 미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이 조사에서, 응답한 소비자의 60%가 사회책임기업의 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또한 응답자의 30%는 사회책임기업의 제품 구매를 앞으로 더 늘릴 것이라고 답했다. (지난 해 조사에서는 18%였는데 1년 만에 그 수치가 30%로 크게 증가한 것.) 어떤 기업이 사회적으로 책임을 다하는 기업인가?응답자들은 '피.. 더보기
경차 타면 보조금 받는다. - 2015년부터 '저탄소차협력금 제도' 도입 온실가스 많이 배출하는 차량에는 부담금 부과2015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에 따라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차량을 구매하는 소비자는 부담금을 부과받고,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하는 차량을 구매하는 소비자는 보조금을 지원받는다. 우리나라 경차 비중 8.9%에 불과 (일본 30.6%, 프랑스 39.0%)이 제도는 중대형차를 좋아하는 우리나라의 승용차 소비문화를 온실가스와 에너지가 적게 소비되는 하이브리드차·전기차 등 친환경차와 소형차로 전환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자동차업계의 글로벌 친환경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이 추진됐다.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차등적으로 보조금이나 부담금이 부여대상차종은 10인승 이하 승용․승합차 중 총 중량이 3.5톤 미만인 자동차이고, 차종별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보조금-.. 더보기